아이의 성장은 출생 이후 성장속도에 따라 4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출생부터 2세까지와 사춘기에 급속하게 자라게 됩니다. 키는 체중과는 달리 사춘기 전후의 급성장기를 지나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 연간 성장 속도를 확인하고 또래 아이들의 키와 비교해봐야 하며, 적정한 시기에 골연령 및 성장판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장은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에 의해 결정이 되며, 유전적 요인은 단 23%에 해당됩니다. 부모에게 물려받은 키가 작다고 하여도 노력 여하에 따라 성인이 되었을때 최종 키는 클수도 있고 반대로 부모의 키가 크다 하여도 후천적으로 영양상태, 운동, 수면 상태등 생활 태도에 따라 최종 키가 부모에 비해 현저히 작을 수 도 있습니다.
또래 아이들의 평균 신장 보다 2표준편차 미만이거나 3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를 저신장이라고 하며, 병적 저신장과 정상적으로 키가 작은 경우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적 저신장은 가족에 비해 유난히 키가 작거나, 성장 곡선에서 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적은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으며,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영양 결핍이 있는 경우 키가 작으면서 체중 역시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은 성장촉진과 대사에 작용하며 중추신경계 질환, 뇌종양, 외상,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서도 기능저하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이 결핍되어 유발되는 저신장은 성장 속도가 연 4cm에 미치지 못하며 골연령이 저하되어 있어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에 최종 성인 키는 작아지게 됩니다.
진찰 소견이나 성장 속도 및 골연령은 정상이지만 부모님으로 부터 작은 키의 유전인자를 물려 받았으므로 최종 성인 키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입니다.
성장 속도 및 사춘기 발현이 늦은 경우로 골연령도 나이에 비해 2~3년 정도 지연되어 있어서 또래 집단보다 현재 키는 작지만 늦게까지 성장을 하여 따라잡기가 가능하므로 성인 키는 정상범위에 속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터너 증후군, 다운 증후군, 프레이더-윌리 증후군과 같은 장애가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설명되지 않는 저신장 아이는 반드시 원인을 파악하여 조속한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출생시 발육 지연이 있었던 아이들은 2세까지는 따라잡기 성장으로 정상 신장에 도달하지만 10~20%는 따라잡기 성장이 일어나지 않고 최종 성인 신장이 작아지게 됩니다.
● 또래 친구 중에서 키가 작은 순으로 1, 2등인 경우
● 또래 친구들 표준 평균치보다 약 10cm 내외로 작은 경우
● 사춘기가 끝나기 이전이며, 키가 매년 4cm 이하로 자라는 경우
● 키 성장 속도가 갑자기 뚝 떨어진 경우
● 사춘기가 진행되고 있는데도 여전히 키가 작은 경우
● 모든 가족의 키가 매우 작은 경우
● 키 때문에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경우
● 성조숙증이 의심되는 경우
1. 2차 성징발현, 즉 유방 혹은 고환이 커지는 경우
2. 성장발육이 월등히 빠른 경우
3. 부모, 형제들의 키가 일찍 크고 멈춰버린 경우
4. 키에 비해 체중이 너무 많이 나가는 비만아
조기발견의 중요성 : 정기적으로 자녀의 성장속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며 아이의 키가 작다고 생각이 되면 1년에 한 두번 정도 소아과 전문의의 진료를 필요로 합니다. 특히, 1년에 5cm 이내로 자라는 어린이는 정확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저신장증의 원인에 따라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 만성 신부전증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심한 저신장으로 인한 사회적, 심리적 문제가 유발되는 경우에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